라벨이 RDS인 게시물 표시

AWS RDS 셋팅2 EC2 인스턴스 터미널로 RDS연결하기

이미지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셋팅한 RDS를 EC2 인스턴스로 연결을 하겠습니다.  아래 인스턴스를 터미널로 연결하는 방법은 링크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Link mysql client 설치 $ sudo apt-get install mysql-client copy mysql client를 terminal로 설치한다. $ mysql -u [ DB 유져 ] --host[ 엔드포인트 ] -P [ DB 포트번호 ] -p copy mysql에 접속하기 위해서 위 터미널의 DB유저, 엔드포인트, DB 포트번호를 작성한다. 그리고 'Enter password'에 해당 DB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위 사진처럼 DB가 나오면 성공저으로 RDS에 연결이 된 것이다.

AWS RDS 셋팅1 RDS생성하기

이미지
 안녕하세요. EC2, S3에 이어 이번에는 RDS셋팅하는 법에 대해서 설명할려고 합니다.   사실 DB는 EC2에 설치는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EC2에서 서버와 DB역할을 갖이하게 되면 부하가 갈수가 있고 RDS에서 따로 DB관리 및 백업을 해주기 때문에 DB규모가 커질수록 RDS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DataBase를 생성하는 방법은 2가지 입니다. 'Dashboard'에서 바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가서 생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MySQL을 이용해서 DB를 구축하겠습니다. 'MySQL'선택 이후 아래의 템플릿을 선택해야 합니다. 가장 오른쪽에 있는 '프리티어'로 선택합니다. 그래야 750시간 무료 프리티어 기능을 쓸수 있습니다. 이제 위 사진처럼 각각 설정을 작성합니다. DB user, 비밀번호는 나중에 EC2 인스턴스에서 DB에 접속할때 필요하니 잘 기억해 둡니다. 여기서는 퍼블릭으로 설정하여 외부 EC2에서도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합니다.  생성할 DB의 접속 포트를 설정합니다. (위 사진은 7777) 위 사진은 선택사항 입니다. 초기 데이터베이스를 RDS에서 설정을 할수 있고 다음글에서 사용할 EC2에서 직접 만들수도 있습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클릭하고 약 5 ~ 15분정도 기다리면 DB가 RDS에서 구축이 됩니다.  다시 보여드리겠지만 EC2 인스턴스를 통해 DB에 접속할려면 위 사진의 왼쪽 아래의 '엔드포인트'와 '포트'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없으면 접속할수 없으니 DB비밀번호와 함께 잘 저장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AWS Web Service가 필요한 이유

이미지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AWS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서버를 구축할려면 PC가 필요합니다.  프런트, 백엔드와 Database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위 그림과 같이 나누어야 합니다. 위 3개는 현재 Amazon에서 서비스하는 플랫폼을 사용하여 만들수 있습니다.   React로 만든 Client는 S3버킷에 넣고, Server코드는 EC2에 올립니다. 그리고 마지막 Data Base는 RDS로 구축할수 있습니다.   나중에 또 말하겠지만 1개의 플랫폼이 아닌 여러개로 분리시킨 이유는 관리의 용의성 때문입니다. Client, Server, DataBase로 나눠서 집중한다는 거죠. 물론 EC2에 모든걸 다 넣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매우 비효율 적입니다. CPU가 아주 좋지 않은이상, 그리고 설사 좋아도 대부분의 리소스를 엉뚱한데에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왜 이렇한 서비스가 필요할까요?  예전에는 기업이 직접 서버를 운영했었습니다. 하지만 서버를 운영하는데는 적지않은 시간과 돈이 들어갑니다. 또한 하드웨어에서 고장이라도 나면 그것을 수리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이 지체되고 그렇게 되면 서비스를 유저들한테 제공할수 없습니다.  그리고 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상주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지않은 인건비가 나갑니다. 이렇듯 각기다른 기업들이 서버를 운영하는 것은 좋지 않은 생각 입니다. 게다가 서비스 규모가 커질수록 유지비용 또한 덩달아 올라갔습니다.  그런 기업중 하나인 아마존은 자사의 데이터 센터의 유휴 자원들을 전세계를 상대로 서비스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AWS(Amazon Web Service)입니다.  그럼 이렇한 서비스의 장점이 무엇일까요? 바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하드웨어 관리, 용량 증설, 사양 추가 등등 여러 문제에서 해방될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용을 얼마나 내냐에 따라서 다르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