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Web Service가 필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AWS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서버를 구축할려면 PC가 필요합니다. 



프런트, 백엔드와 Database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위 그림과 같이 나누어야 합니다. 위 3개는 현재 Amazon에서 서비스하는 플랫폼을 사용하여 만들수 있습니다. 

 React로 만든 Client는 S3버킷에 넣고, Server코드는 EC2에 올립니다. 그리고 마지막 Data Base는 RDS로 구축할수 있습니다. 

 나중에 또 말하겠지만 1개의 플랫폼이 아닌 여러개로 분리시킨 이유는 관리의 용의성 때문입니다. Client, Server, DataBase로 나눠서 집중한다는 거죠. 물론 EC2에 모든걸 다 넣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매우 비효율 적입니다. CPU가 아주 좋지 않은이상, 그리고 설사 좋아도 대부분의 리소스를 엉뚱한데에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왜 이렇한 서비스가 필요할까요?





 예전에는 기업이 직접 서버를 운영했었습니다. 하지만 서버를 운영하는데는 적지않은 시간과 돈이 들어갑니다. 또한 하드웨어에서 고장이라도 나면 그것을 수리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이 지체되고 그렇게 되면 서비스를 유저들한테 제공할수 없습니다.

 그리고 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상주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지않은 인건비가 나갑니다. 이렇듯 각기다른 기업들이 서버를 운영하는 것은 좋지 않은 생각 입니다. 게다가 서비스 규모가 커질수록 유지비용 또한 덩달아 올라갔습니다.




 그런 기업중 하나인 아마존은 자사의 데이터 센터의 유휴 자원들을 전세계를 상대로 서비스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AWS(Amazon Web Service)입니다. 





그럼 이렇한 서비스의 장점이 무엇일까요? 바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하드웨어 관리, 용량 증설, 사양 추가 등등 여러 문제에서 해방될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용을 얼마나 내냐에 따라서 다르지만 서버 구축, 관리, 등등 여러가지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AWS가 처음으로 Web Service를 시작했지만 지금은 많은 경쟁업체가 생겨났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AWS를 이용하여 프런트, 백엔드, Data Base까지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DAQ로 전압 측정하기-2

Lesson 12_2 참조를 이용한 프로퍼티노드(Property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