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install인 게시물 표시

Bash Install NodeJS

이미지
Bash를 이용하여 NodeJS을 설치하겠습니다. #!/bin/bash #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시 $ source node_install.sh # apt update sudo apt update # nodejs install echo 'install node' sudo apt install -y nodejs # download nvm echo 'download nvm' wget -q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7.2/install.sh | bash # nvm의 새 인스턴스를 로드하기 위해 .bashrc를 source source ~/.bashrc # install nvm version 20.10.0 (node version이라고 가정) echo 'install nvm 20.10.0' nvm install 20.10 .0 # set default node version to 20.10.0 echo 'set nvm default version to 20.10.0' nvm alias default 20.10 .0 echo 'finish' exit 0 위와 같은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사진1) 설치를 위해 암호 입력 이후 설치가 진행이 되고 node와 nvm이 로컬에 설치 된 것을 알수 있습니다. gitHub Link : https://github.com/Alex-Choi0/Ubuntu_node_install_bash

docker-compose 도커를 이용하여 개발하기 - 모듈 동기화

이미지
저번작업에 이어 이번에는 node_modules를 동기화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 docker-compose 도커를 이용하여 개발하기 - 코드 동기화 1. module을 동기화하기 저번과 마찬가지로 NestJS을 이용하여 도커 개발환경을 구성하는데 이번에는 node_modules를 실시간으로 동기화 하는 작업을 하겠습니다.  먼저 .dockerignore 파일을 작성합니다. # ./.dockerignore node_modules package.json package-lock.json npm-debug.log dist 그리고 기존의 도커파일(Dockerfile)을 수정합니다. # ./Dockerfile # Base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FROM node : 18.18.0 # Docker Container안의 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설정을 안할시 Root리렉토리로 설정됩니다. WORKDIR /nestjs # package.json을 도커 이미지에 복사합니다. # COPY package.json /nestjs # COPY package-lock.json /nestjs # package데이터를 근거로 npm을 설치한다. # RUN npm install #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 폴더를 도커 이미지로 복사합니다. # .dockerignore에 있는것은 제외 COPY . /nestjs # 해당 도커 이미지에서 build를 해서 dist폴더를 생성합니다. # RUN npm run build # 해당 이미지의 포트를 EXPOSE합니다. # 표시만 할뿐 실제 도커 컨테이너의 포트가 노출되지 않는다. EXPOSE 3000 # 도커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생성시 nodejs 자동 실행(development mode) CMD [ "npm" , "run" , "start:dev" ] 다음은 docker-compose.yaml파일을 수정합니다. ...

docker-compose 도커를 이용하여 개발하기 - 코드 동기화

이미지
개발을 진행할때 도커를 이용하다보면 build를 진행하는 시간이 길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때 개발이 완료될때마다 매번 build를 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도커 컨테이너안의 코드와 개발IDE의 코드를 동기화 합니다. 필요시 확장 파일들도 동기화 할수 있습니다. 일단 코드를 동기화 하는 법에 대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1. 코드를 동기화하기 이번에 사용할 프로그래밍 언어는 TypeScript이며 NestJS를 이용하여 간단한 서버를 구성할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공식 사이트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식 NestJS 사이트 링크 프로젝트를 생성후 Dockerfile을 만들어서 작성합니다. # ./Dockerfile # Base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FROM node : 18.18.0 # Docker Container안의 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설정을 안할시 Root리렉토리로 설정됩니다. WORKDIR /nestjs # package.json을 도커 이미지에 복사합니다. COPY package.json /nestjs COPY package-lock.json /nestjs # package데이터를 근거로 npm을 설치한다. RUN npm install #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 폴더를 도커 이미지로 복사합니다. # .dockerignore에 있는것은 제외 COPY . /nestjs # 해당 도커 이미지에서 build를 해서 dist폴더를 생성합니다. RUN npm run build # 해당 이미지의 포트를 EXPOSE합니다. # 표시만 할뿐 실제 도커 컨테이너의 포트가 노출되지 않는다. EXPOSE 3000 # 도커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생성시 nodejs 자동 실행(development mode) CMD [ "npm" , "run" , "start:dev" ] 이제 이 도커파일을 사용할 docker-compose.yaml파일을 만듭니다. ...

android studio 설치 - Linux (Ubuntu)

이미지
 다운로드 링크 :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설치법 :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install 간단하게 apt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처럼 작성하면 된다. sudo apt-add-repository ppa:maarten-fonville/android-studio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ndroid-studio 사진1) 설치파일 다운 사진2) 조건동의 사진3) 다운로드 경로 지정 사진4) 다운로드 완료 사진5) 압축풀기 사진6) 압축풀 경로 설정 사진7) 압축풀기 완료 사진8) 폴더확인 완료 사진9) Ubuntu 32bit 파일 설치 만약 현재 사용하는 Ubuntu가 64bit이면 32bit apt를 설치해 줘야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libc6:i386 libncurses5:i386 libstdc++6:i386 lib32z1 libbz2-1.0:i386 사진10) 폴더를 usr/local/로 이동 해당 'android-studio'폴더를 '/usr/local/'으로 이동시켜줍니다. 사진11) bin폴더로 이동 사진12) android.sh실행 사진11에서 bin폴더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studio.sh'파일을 실행하면 사진 12와 갖이 나타납니다. 사진13) studio 실행완료 사진14) 커스텀으로 진행 사진15) 테마설정 사진16) 진행 사진17) 진행 사진18) 진행 사진19) 완료 사진20) android-studio실행가능 window 설치방법 :  https://engineeringshw.blogspot.com/2023/09/android-studio-window-10.html

android studio 설치 - window 10

이미지
 다운로드 링크 :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설치법 :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install 사진1) Android Studio 다운로드 사이트 다운로드 링크에 들어가면 사진1의 사이트가 나옵니다.  "Download Android Studio Giraffe"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사진2) 라이센스 동의 페이지 사진3) 설치파일 다운로드 경로 사진2,3에서 라이센스 동의를 하고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할 경로를 설정합니다. 사진4) 설치 첫 페이지 사진5) 설치요소 선택 사진6) 설치경로 사진7) 시작폴더 선택 사진8) 설치시작 사진9) 설치 완료 다운로드후 사진 4~9까지 진행해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설치를 완료합니다. 사진10) 기존 환경변수로 셋팅 옵션 사진10은 기존의 환경변수 셋팅한 경로가 있으면 'Config or installation directory'를 선택해서 적용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처음부터 하는 것이기 때문에 'Do not import settings'를 선택합니다. 사진11) 환경 셋팅 사진12) 기본 또는 커스텀으로 셋팅 사진12에서 기본(Standard) 또는 커스텀(Custom)이 있습니다. 기본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설정값으로 셋팅하는 것이고 커스텀은 직접 설정하는 것입니다. 처음 셋팅하기 때문에 커스텀으로 선택하고 진행하겠습니다. 사진13) IDE테마 설정 사진14) SDK설치 사진15) 애뮬레이터 램 할당량 셋팅 사진16) 셋팅준비 완료 사진17) 셋팅전 확인 사진18) 라이센스 동의 사진19) 설치 시작 사진20) 설치 완료 사진21) 완료후 첫화면 사진13 ~ 20까지 진행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그리고 첫화면으로 사진21이 나오는데 이제부터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만들수 있습니다. Ubuntu(Linux) 설치법 :...

JAVA 설치하기 - Linux(Ubuntu 20.04)

이미지
 JAVA를 배우기 위해서 Ubuntu에 자바를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설치하는 Ubuntu시스템의 버전은 아래 그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해당 시스템에 JAVA가 설치됬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 JAVA가 설치됬는지 확인한다. $ java -version copy 위 사진과 같이 나왔다면 JAVA가 설치가 안된 상황입니다. 이럴때 JAVA를 설치해야 합니다. 먼저 apt를 업데이트 해야 합니다. 2. apt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한다 $ sudo apt update copy 이제 jdk(JAVA)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3. JAVA를 설치한다. $ sudo apt install -y openjdk-17-jdk copy = JAVA 17을 사용하는 이유 = --------------------------------------------- JAVA 17을 사용하는 이유는 LTS(Long Term Support)이기 때문이다. 현재 오라클에서는 해당 버전의 지원을 2029년으로 정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글을 쓰고있는 2023년으로부터 약 6년을 더 지원받을수 있기 때문에 이버전으로 선택 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oracle.com/kr/java/technologies/#java17 --------------------------------------------- 4. JAVA 버전을 확인합니다. $ java -version copy 위 사진과 같이 JAVA 17버전이 설치된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제 JAVA를 사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