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RDS 셋팅1 RDS생성하기
안녕하세요. EC2, S3에 이어 이번에는 RDS셋팅하는 법에 대해서 설명할려고 합니다.
사실 DB는 EC2에 설치는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EC2에서 서버와 DB역할을 갖이하게 되면 부하가 갈수가 있고 RDS에서 따로 DB관리 및 백업을 해주기 때문에 DB규모가 커질수록 RDS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DataBase를 생성하는 방법은 2가지 입니다. 'Dashboard'에서 바로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가서 생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MySQL을 이용해서 DB를 구축하겠습니다.
'MySQL'선택 이후 아래의 템플릿을 선택해야 합니다. 가장 오른쪽에 있는 '프리티어'로 선택합니다. 그래야 750시간 무료 프리티어 기능을 쓸수 있습니다.
이제 위 사진처럼 각각 설정을 작성합니다. DB user, 비밀번호는 나중에 EC2 인스턴스에서 DB에 접속할때 필요하니 잘 기억해 둡니다.
여기서는 퍼블릭으로 설정하여 외부 EC2에서도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합니다.
생성할 DB의 접속 포트를 설정합니다. (위 사진은 7777)
위 사진은 선택사항 입니다. 초기 데이터베이스를 RDS에서 설정을 할수 있고 다음글에서 사용할 EC2에서 직접 만들수도 있습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클릭하고 약 5 ~ 15분정도 기다리면 DB가 RDS에서 구축이 됩니다.
다시 보여드리겠지만 EC2 인스턴스를 통해 DB에 접속할려면 위 사진의 왼쪽 아래의 '엔드포인트'와 '포트'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없으면 접속할수 없으니 DB비밀번호와 함께 잘 저장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