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 Oriented - OOP Encapsulation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OOP의 첫번째 내용인 Encapsulation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책을 예로 들이겠습니다. 일단 코드를 작성할때 각각의 변수를 설정하고 함수를 만든 다음 함수에 파라미터 또는 요소(Parameter)를 넣어서 구동합니다. 이후 return값을 받게 코드를 짭니다.
위 두 사진은 책이라는 물체에 대해서 도식화(2번째 사진)했고 다음은 실제 코드를 구동할때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3번째 사진)입니다.
이렇게 짤수는 있지만 문제는 책이 이세상에 1권만 있는게 아니라 종류, 타입 별로 무한정 있기 때문에 위 처럼 코드로 작성하게 되면 작업량이 엄청나게 늘어납니다.
제목(Title)만 하더라도 각각의 변수를 다르게 지정해 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책에 대한 Object를 만듭니다. 이 안에는 기존에 있던 책의 모든 파마메터와 함수가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에 보실 코드에는 이 함수에 전달할 파라메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Book의 객체 안에서 키값으로 각각의 요소가 지정이 됬고 함수는 전달인자 없이 문자열을 return할수 있습니다. 이는 this문을 사용하였기 때문 입니다.
따라서 Encapsulation은 하나의 객체(Object)안에서 모든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는것을 의미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