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Q로 전압 측정하기-1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DAQ(USB-6121)로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진1처럼 DAQ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들이 있습니다. 사진에 모든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있으면 도움이 되는 것들도 있습니다.
테스터기(필수아님) : DMM-135B
DAQ (필수) : USB-6121
브레드보드 (필수)
드라이버(필수) : NI드라이버
기본적으로 4가지정도가 필요한데 테스터기는 실제 DAQ가 제대로 측정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용도입니다.
그럼 전압을 측정할 회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한 LED를 스위치로 키고 끌수있는 회로도 입니다. 여기서는 시연을하기 위해 LED와 스위치, 저항이 필요하고 만약 DAQ측정만 하기 위해서면 9V 건전지와 저항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브레드보드는 사진3과 같이 회로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9V전원이 연결이 됬지만 실제로는 스위치가 꺼져있기 때문에 LED가 꺼져 있습니다.
스위치를 ON시켜서 LED가 켜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습니다.
사진5,6을 확인하면 전압이 7V올라간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는 저항주변의 전압값을 측정한 값입니다. 즉 LED에서는 2V의 전압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다음번에는 실제 DAQ를 연결해서 측정하도록 하겠습니다.
Discord Community Link
사진1) 준비물 |
사진1처럼 DAQ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들이 있습니다. 사진에 모든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있으면 도움이 되는 것들도 있습니다.
테스터기(필수아님) : DMM-135B
DAQ (필수) : USB-6121
브레드보드 (필수)
드라이버(필수) : NI드라이버
기본적으로 4가지정도가 필요한데 테스터기는 실제 DAQ가 제대로 측정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용도입니다.
그럼 전압을 측정할 회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2) 회로도 |
간단한 LED를 스위치로 키고 끌수있는 회로도 입니다. 여기서는 시연을하기 위해 LED와 스위치, 저항이 필요하고 만약 DAQ측정만 하기 위해서면 9V 건전지와 저항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사진3) 브레드보드 연결 |
사진4) 스위치ON시 LED |
사진5) 스위치가 OFF일때 전압 |
사진6) 스위치가 ON일때 전압 |
사진5,6을 확인하면 전압이 7V올라간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는 저항주변의 전압값을 측정한 값입니다. 즉 LED에서는 2V의 전압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다음번에는 실제 DAQ를 연결해서 측정하도록 하겠습니다.
Discord Community Link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