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setting인 게시물 표시

Code Editer IntelliJ - Setting

이미지
테마 설정   Editor -> General -> Auto Import Editor -> General -> Code Folding Editor -> General -> Appearance

Ubuntu 한글(Korean) 자판 적용 방법

이미지
  설정에 들어가줍니다. '지역 및 언어'에 접근하면 보통 위와 같은 그림입니다. 혹은 '한글'이 추가되 있을것입니다. '+'을 눌러줍니다. 입력소스중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설치된 언어 관리'를 클릭해줍니다.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이때 '설치'를 클릭해 줍니다. 설치전 인증과정이 필요하고 해당 PC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설치'를 클릭하면 '바뀐 내용 적용' 창이 뜨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위 창이 나오면 이제 재시작을 합니다. 이제 한글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한영타자를 할때 언어를 전환할려면 L-Shift + Space 를 누르면 가능합니다.

Ubuntu 20.04 에러

  1. Ubuntu의 셋팅이 열리지 않을시 대처법 셋팅(setting)이 실행이 안됨 - 'gnome-control-center'가 손상됬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삭제를 한다. $ sudo apt-get remove gnome-control-center copy - autoremove를 실행하여 나머지도 자동 삭제 시킨다. $ sudo apt autoremove copy - 'gnome-control-center'를 다시 설치해 줍니다. $ sudo apt-get install gnome-control-center copy

몽고DB사용하기 by Web(Atlas)

이미지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이번에는 NoSQL의 MongoDB를 사용할수 있게 셋팅을 하겠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https://account.mongodb.com/account/login'링크에 들어가서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가입이 완료된 이후 셋팅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로그인을 하면 처음 프로젝트 카테고리가 나타납니다. 갓 생성한 계정이니 프로젝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단 'New Project'버튼을 눌러 새로 생성합니다. 저는 임시적으로 'test'라는 프로젝트명을 사용하겠습니다. 위의 사진은 해당 프로젝트에 유저를 추가할것인지의 여부입니다. 일단 여기서는 혼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Create Project'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프로젝트가 완성됬습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차례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SQL이나 NoSQL이나 비슷한 개념입니다. 결국 데이터베이스 안에 데이터를 넣기 때분입니다. 연습용이기 때문에 'free'를 선택해 줍니다. 원하는 서비스 및 리전을 선택합니다. 몽고디비에서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명칭을 지정할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Cluster0'으로 자동생성 됬습니다. 물론 바꾸셔도 되지만 저는 그대로 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Create Cluster'을 누르면 위와같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게 됩니다. 시간상 약 3~10분정도 걸립니다.  Terminal에서 몽고DB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지정합니다. 데이터 베이스 유저가 작성이 되면 이제 'Choose a connection method'를 클릭합니다.  위 글에서는 Terminal로 접속할 것이 때문에 첫번째(Connect with the MongoDB Shell)항목을 선택합니다. 만약 해당 컴퓨터에 MongoDB Shell이 설치되 있지 않는다면 설치하시고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설치가 되 있으면 'I h...

NestJS에 Swagger(스웨거) Document(문서)를 적용 - API적용

이미지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CRUD를 코드로 작성하면서 동시에 Swagger를 적용해서 Swagger API문서를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가장 기본적인 API문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nestjs을 설치시 자동으로 나오는 app모듈중 'app.controller.ts'에서 아래와 같이 코드를 수정합니다. import { Controller , Get } from '@nestjs/common' ; import { ApiResponse , ApiTags } from '@nestjs/swagger' ;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 // ApiTags는 해당 컨트롤러의 Root경로를 입력받습니다. @ ApiTags ( '/' ) @ Controller () export class AppController { constructor ( private readonly appService : AppService ) {} // ApiResponse는 해당 API가 응답 코드에 따른 설명을 작성합니다. @ ApiResponse ({ status : 200 , description : '정상적인 GET응답' , }) @ ApiResponse ({ status : 500 , description : '서버에러 발생시' , }) @ Get () getHello (): string { return this . appService . getHello (); } } ./src/app.controller.ts 웨 코드에서 'ApiTags', 'ApiResponse' 이 2개가 추가 됬다. 이 데코레이션은 해당 Document에 관련 API정보를 보내는 것이다. 그럼 실제 출력을 보자. 그림1) rootUrl:3...

NestJS에 Swagger(스웨거) Document(문서)를 적용

이미지
 이제 본격적으로 Swagger를 이용하여 자동 API Document를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nestjs가 설치됬다는 가정하에 진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설치방법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NestJS 설치법 먼저 npm모듈을 설치합니다. npm i @nestjs/swagger swagger-ui-express copy 위 두개의 모듈은 각각 nestjs 지원 및 프런트 화면구성을 위한 swagger모듈 입니다. import { NestFactory } from '@nestjs/core' ; import { DocumentBuilder } from '@nestjs/swagger' ; // DocumentBuilder import import { AppModule } from './app.module' ; async function bootstrap ()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 . create ( AppModule ); // Swagger Document를 설정 const options = new DocumentBuilder () . setTitle ( 'nest API' ) . setVersion ( '1.0' ) . build (); await app . listen ( 3000 ); } bootstrap (); 위의 코드와 같이 main.ts파일을 수정합니다. 위 코드에서 추가된 것은 DocumentBuilder class이며 이는 API문서를 만들기 위한 준비사항 입니다. 해당 문서의 제목(setTitle), 버전(setVersion) 그리고 빌드(build)를 합니다. import { NestFactory } from '@nestjs/core' ; import { DocumentBui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