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상태(Server State)와 클라이언트 상태(Client State)의 차이
Reac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상태(state)는 핵심 개념입니다. 이 상태는 크게 클라이언트 상태와 서버 상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상태는 성격과 관리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라이언트 상태 (Client State)
클라이언트 상태는 브라우저 메모리 또는 React 내부에서 관리되는 상태로, 서버와의 직접적인 연동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관련된 정보들이 주로 해당됩니다.
예시
- 모달의 열림/닫힘 상태
- 폼 입력값 (예: 이름, 이메일 등)
- 다크모드/라이트모드 토글
- 현재 탭이나 필터 선택 상태
특징
- React의
useState
,useReducer
, Context API 또는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Zustand, Recoil 등)를 통해 관리됩니다. - 빠르게 변하고 UI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 새로고침 시 초기화됩니다.
- 비동기 처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서버 상태 (Server State)
서버 상태는 외부 시스템(API, 데이터베이스 등)에 존재하며,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비동기 요청이 필요합니다. 데이터의 소유권이 외부에 있기 때문에 이를 React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해야 합니다.
예시
- 사용자 목록 (GET /users)
- 게시글 목록 (GET /posts)
- 서버의 공지사항 정보
- 주문 내역, 결제 상태
특징
-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하며, 서버의 데이터 변경을 반영해야 합니다.
- 요청 도중 로딩 상태와 에러 상태를 함께 관리해야 합니다.
- React Query, SWR, Apollo Client 등의 라이브러리를 통해 관리하면 효율적입니다.
- 자동 캐싱, 리페치, 리트라이, 무효화(invalidation) 등의 기능이 필요합니다.
클라이언트 상태 vs 서버 상태 비교
구분 | 클라이언트 상태 (Client State) | 서버 상태 (Server State) |
---|---|---|
정의 | React 내부에서 관리되는 UI 상태 | API, DB 등 외부 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 |
데이터 위치 | 브라우저 메모리 | 외부 서버 |
비동기 여부 | 필요 없음 | 항상 필요 (fetch, axios 등) |
예시 | 모달 상태, 입력값, UI 토글 | 유저 목록, 주문 정보, 게시글 등 |
관리 도구 | useState, Zustand, Recoil 등 | React Query, SWR, Apollo 등 |
왜 구분이 중요할까?
클라이언트 상태는 React 내장 기능만으로도 충분히 관리할 수 있지만, 서버 상태는 복잡한 비동기 처리와 네트워크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React Query 같은 전문적인 라이브러리가 필요합니다.
두 상태를 혼용하거나 혼동하면 코드가 복잡해지고 버그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따라 상태를 구분하고 적절한 도구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 클라이언트 상태: UI에 집중된 내부 상태, 빠르게 변하고 즉각적
- 서버 상태: 외부 데이터, 비동기 처리 필요, 동기화와 최신성 유지가 중요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 상태와 클라이언트 상태를 구분해서 설계하면 더 유지보수 가능하고 확장성 있는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