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퍼티 노드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프로퍼티 노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참조를 이용하는 방법과 직접 프로퍼티 노드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프로퍼티노드만을 이용해서 카운트를 올리는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그림1) 버튼생성후 기계적동작 변경 새로운 VI를 생성후 그림 1과 같은 버튼을 설정 합니다. 스위치의 기계적 상태는 '놓을때 위치'로 설정을 합니다. 이후 'Start', 'Hold', 'Reset', 'Stop' 버튼을 만들어 같은 기계적 상태로 놓습니다. 그림2) 숫자형 컨트롤 생성 그림3) 숫자형 컨트롤 글짜크기 변경 그림4) 숫자형 컨트롤의 형을 변경 그림2~4까지 숫자형 컨트롤을 만들고 프런트 패널에 배치합니다. 그림5) 프런트패널 완성 그림6) 숫자형 컨트롤을 인디게이터로 변경 숫자형 인디게이터는 Count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인디게이터로 변환합니다. 그림7) 플랫 시퀸스, While, 이벤트 케이스 생성후 프로퍼티 생성그림7과 같이 플랫 시퀸스안에 케이스를 2개를 만듭니다. 2번째 케이스에 While루프와 그안에 이벤트 케이스를 만들어 줍니다. 첫번째 케이스에 각 버튼을 초기화 해야 하기 때문에 그림7에서 블록다이어그램에 있는 버튼을 우클릭후 프로퍼티 노드에 들어가서 값을 선택합니다. 그림8) 프로퍼티에 값과비활성화 포함 프로퍼티노드는 원하는 많큼 층을 만들수가 있습니다. 마우스로 프로퍼티노드를 아래로 끌면 다른 속성의 프로퍼티노드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초기화하는 케이스에 비활성화를 선택해 줍니다. 그림9) 초기화 케이스구조 그림9는 프로그램이 처음 시작될때 버튼들을 초기화 해줍니다. 처음 시작되면 'Start', 'Stop' 버튼을 제외하고 모두 비활...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