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minikube, kubectl 설치

 


다음은 kubectl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참고링크2 : https://kubernetes.io/docs/tasks/tools/install-kubectl-linux/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


먼저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위 방법은 최신방법으로 다운을 받는 것이고 특정버전을 받고싶을시 참고링크 2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checksum을 다운받는다.

curl -LO "https://dl.k8s.io/$(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sha256"


다운받은 버전과 checksum을 확인한다.

echo "$(cat kubectl.sha256) kubectl" | sha256sum --check



체크섬 파일을 받으시고 확인을 합니다. 성공이 나올시 정상적이고 실패가 나오면 해당 버전에 맞는 체크섬을 받고 다시 진행하면 됩니다.


kubectl을 설치한다.

sudo install -o root -g root -m 0755 kubectl /usr/local/bin/kubectl


kubectl이 제대로 설치됬는지와 버전을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output=yaml




쿠버네티스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에 연습삼하 minikube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링크1 : https://minikube.sigs.k8s.io/docs/start/


저는 Ubuntu이기 때문에 Linux버전으로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 curl -LO https://storage.googleapis.com/minikube/releases/latest/minikube-linux-amd64


$ sudo install minikube-linux-amd64 /usr/local/bin/minikube




위 사진과 같이 minikube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버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 minikube version

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후 도커와 minikube를 docker드라이버와 연결해 줍니다.


$ minikube start --driver=docker





해당과정은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 (약 5분)


이제 minikube 상태를 확인합니다.


$ minikube status



필요하다면 minikub웹 데시보드 창을 열수 있습니다.


$ minikube dashboard






현재 데시보드에는 어떠한 것도 셋팅이 안됬기 때문에 표시할 데이터가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DAQ로 전압 측정하기-2

Lesson 12_2 참조를 이용한 프로퍼티노드(Property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