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MongoDB Container 생성하고 사용하기

 보통 MongoDB를 셋팅하는데 많이 귀찮습니다. 특히 MongoDB를 처음 셋팅할때는 자료들을 찾아봐야 합니다.

위 작업은 기본적으로 Docker가 설치되 있어야 합니다. 설치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docker install by terminal : ubuntu 20.04

공식 MongoDB Image 사이트 : https://hub.docker.com/_/mongo

1) 도커 컨테이너로 MongoDB생성하기

- MongoDB 이미지를 이용하여 NoSQL 컨테이너를 만들기

$ docker run --name [컨테이너 이름] -p [지정할 포트]:27017 -e MONGO_INITDB_ROOT_USERNAME="[유저이름]" -e MONGO_INITDB_ROOT_PASSWORD="[비밀번호]" -d mongo:[테그]



만약 처음 셋팅한다면 위 사진과 같이 도커에서 이미지를 다운을 받을 것입니다. 



이제 컨테이너가 구동이 되면 위 사진과 같이 돌아가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2) 도커 컨테이너로 접속하기(바로 mongosh로 접속)

- MongoDB 컨테이너에 접속하기(mongosh) : admin

mongosh mongodb://[username]:[password]@[ip address]:[port]/admin



위 방법으로 mongosh를 이용하여 mongoDB에 접속을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mongosh가 local에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때는 docker container로 접속해서 직접 mongosh를 실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3) 도커 컨테이너로 접속하기(컨테이너로 접속후 mongosh로 접속하기)

- 해당 컨테이너에 접속

docker exec -it [컨테이너 이름 또는 id] bash


- 접속한 컨테이너에서 mongosh를 실행하여 mongodb에 접속

mongosh mongodb://localhost:27017 --username [username] --password [password]



위 사진처럼 docker 커멘드를 이용하여 접속후 mongosh를 이용하여 mongoDB에 접속할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컨테이너에 접속후 입력한 포트가 27017이라는 것입니다. 로컬에 노출된 포트는 4500이지만 위 사진은 도커 내부에 접속해서 실행한 것이기 때문에 Default 포트를 입력한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DAQ로 전압 측정하기-2

Lesson 12_2 참조를 이용한 프로퍼티노드(Property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