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6 testing 간단한 GET 부하 테스트

 테스트 프로젝트에 js파일을 생성합니다. (testing1.js)

// simpleGetTest/testing1.js
import http from 'k6/http';
import { sleep } from 'k6';

export default function () {
http.get('[테스트 하기 위한 URL정보]');
sleep(1);
}




매우 간단한 테스트 입니다. 1회만 해당 URL에 GET요청을 하고 status코드가 200이 오는지 확인합니다.


import { sleep } from "k6"
import http from "k6/http"

// 테스트 옵션
// 10명의 가상 유저들이 30초간
export const options = {
vus: 10, // 10명의 가상 유저
duration: "30s", // 30초간
}
export default function () {
http.get("[테스트 하기 위한 URL정보]")
sleep(1)
}




다음 테스트는 옵션을 줘서 10명의 유저가 30초간 GET요청을 하는 테스트입니다.


import { sleep } from "k6"
import http from "k6/http"

// 테스트 옵션
export const options = {
stages: [
{ duration: "30s", target: 20 }, // 30초동안 20명의 유저가 점진적으로 늘어난다
{ duration: "1m30s", target: 10 }, // 1분30초동안 10명의 유저가 유지된다.
{ duration: "20s", target: 0 }, // 20초동안 유저의 수가 0명으로 줄어든다
],
}

export default function () {
http.get("[테스트 하기 위한 URL정보]")
sleep(1)
}



마지막은 구간별로 나눠서 테스트 한 것입니다. 이처럼 간단하게 k6코드를 구현해서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DAQ로 전압 측정하기-2

Lesson 12_2 참조를 이용한 프로퍼티노드(Property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