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1) SQL 인스턴스 만들기 |
GCP에서 SQL 인스턴스를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사진2) DBMS 선택 |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사용할 DBMS을 선택합니다. (위 글에서는 postgreSQL을 선택했습니다.)
 |
사진3) DBMS 세부설정 |
DBMS이름 및 사양 등을 설정합니다.
 |
사진4) DBMS 리전 선택 |
 |
사진5) 영역가용성 선택 |
 |
사진6) 옵션설정 |
 |
사진7)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IP 추가 |
 |
사진8) IP추가 |
저는 터미널로 작업하는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사진 7,8과 같이 승인 네트워크를 추가합니다. 해당 IP주소는 터미널로 DBMS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
사진9) 데이터 보호 옵션 |
사진9에서는 기본적으로 '삭제 보호 사용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삭제를 보여주기 위해 해제합니다.
 |
사진10) 데이터 베이스 생성 |
 |
사진11) 데이터 베이스 접근 |
사진11과 같이 DB가 생성되면 터미널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postgres의 터미널 접속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PostgreSQL CLI
 |
사진12) 데이터 베이스 삭제 선택 |
 |
사진13) 데이터 베이스 삭제 절차 |
 |
사진14) 삭제 완료 |
사진12 ~ 14까지 데이터베이스 삭제 방법입니다. 다만 사진9에서 삭제보호가 활성화 되어 있다면 비활성화 한다음에 삭제가 가능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