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 MySQL - SQL8-3: 인덱스 사용시 악영향(INSERT, UPDATE, DELETE)

 균형트리구조를 이용하여 조회를 할때 속도면에서 많은 이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삽입, 수정, 삭제를 할시 DB의 성능에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사진1) 이전 글에서 사용한 균형트리

이제 사진1에서 저는 210, 211, 212를 추가하고 싶습니다. 그러면 일단 아래와 같이 추가를 할수 있습니다.

사진2) 210, 211, 212추가

사진2와 같이 3개의 데이터를 추가했는데 200페이지에 지나치게 많은 데이터가 몰렸습니다. 그럼 이때 중간의 페이지를 늘려줘야 합니다.


사진3) 트리구조 변경

 사진3처럼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찾기 위해 트리 구조가 변경 되었습니다. 210 ~ 212를 쉽게 찾기 위해 중간에 211 페이지가 추가 되었고 200 ~ 211에는 210이 211 ~ 224에는 211, 212가 배정되었습니다. 


 이렇듯 INSERT를 하게 되면 트리구조의 변경이 생기기 때문에 성능에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는 UPDATE나 DELETE도 마찬가지 입니다. 데이터가 변경이 되면 인덱스는 검색하기 효율적인 방법으로 구조를 재편하게 됩니다. 하지만 인덱스량이 많으면 그만큼 시간이 걸립니다. 



이전글 : DBMS MySQL - SQL8-2: 인덱스 내부 동작 원리

이후글 : DBMS MySQL - SQL8-4: 인덱스 SQL 사용하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DAQ로 전압 측정하기-2

Lesson 12_2 참조를 이용한 프로퍼티노드(Property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