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1-WWW에 HTTPS웹사이트를 올리기(Route53, CloudFront, S3) - 구조 파악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이번 시리즈는 AWS를 이용하여 https프로토콜이 적용된 웹사이트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전체적인 구조와 흐름에 대해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진1) 이번 시리즈에서 구성된 개념도 |
사진1에 대한 간단한 설명으로 시작은 S3입니다. S3에 간단한 HTML, CSS, JavaScript로 작성한 코드를 저장합니다. 물론 index.html로 정적으로 웹사이트가 동작되어야 합니다.
다음 도매인을 구매합니다. 도매인 구매는 Route53에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후 구매한 도매인에 대한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 AWS Certification에서 신청을 하고 이 모든것을 CloudFront에서 역어줄 것입니다.
나중에 작성하겠지만 CloudFront없이도 배포를 진행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CloudFront를 이용하겠습니다.
CloudFront를 사용하는 이유는 S3의 데이터를 캐시에 넣고 전세계 AWS 리전과 고유가 되기 때문입니다.
사진2) 전세계 리전(참고용-정확하지 않음) |
AWS서비스는 전세계 여러곳에 데이터 센터가 있습니다. 만약 사진2번에서 1번(서울)에 베이스로 하는 웹사이트가 있는데 4번(미국서부)에사는 사람이 웹사이트에 접속할려고 합니다. 하지만 거리상 문제때문에 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CloudFront를 하용하게 되면 전세계에 존재하는 AWS 데이터 센터에 캐시가 등록이 됩니다. 그래서 실제 미국 서부에 살아도 서울까지의 긴거리를 연결할 필요없이 4번 리전에서 간단하게 캐시를 받아서 웹사이트를 진행하면 됩니다.
물론 단점도 있는데 서울에 있는 서버의 내용이 변경이 되면 바로 반영이 안됩니다. 수동으로 캐시를 업데이트하거나 정기 업데이트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그래도 이번 시리즈에서 간단한 배포이기 때문에 CloudFront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