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cript 변수 선언5 - function(함수), void, undefined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TypeScript에서 함수를 사용할때를 설명해 드리게습니다.


// function의 원소들을 우너하는 변수 형태로 선언할수 있다.
// function의 return값도 선언이 가능하다.
function add(num1: number, num2: number) : number{
// return할 result를 number로 선언
let result : number;

// 각각, num1, num2는 number이다.
// 두 number의 합은 result의 결과이다.
result = num1 + num2;

// number인 result return
return result;
}

// console.log의 출력은 두수의 합의 결과다.
console.log(add(1,3));

위 코드에서 num1, num2에 변수 속성을 각각 선언한 것을 알수 있습니다. 가장 오른쪽의 number는 function add의 return값의 속성을 지정한 것입니다.




하지만 add함수의 return값을 string로 지정을 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함수의 return값의 속성을 정확하게 지정을 해야 TypeScript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 console.log의 출력은 두수의 합의 결과다.
// console.log(add(1,3));

// function을 void로 선언
function testVoid(num: number) : void{

console.log("Test Void : ", num);
// function이 void로 선언되면 return값이
// 없음
}

testVoid(77);



JavaScript에는 void라는 속성이 없습니다. 대신 undefined라는 속성이 있는데 이것 또한 TypeScript에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TypeScript에서 에러가 생긴 이유는 undefined의 속성을 가진 return값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undefined는 정의되지 않았다는 것이지만 이것마져도 return값에 넣어야 한다. 


// function을 void로 선언
function testVoid(num: number) : undefined{

console.log("Test Void : ", num);
// function이 void로 선언되면 return값이
// 없음
}

testVoid(77);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DAQ로 전압 측정하기-2

Lesson 12_2 참조를 이용한 프로퍼티노드(Property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