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cript 변수 선언1 - Number, String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TypeScript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합니다. 일단 타입 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변수를 알아볼 것입니다.


변수예시설명자바스크립트에 존재?
number3,2,-7,0.4JavaScript의 모든 숫자(정수,소수)O
string"Hello", 'World'모든 문자열O
booleantrue, false참, 거짓O
object{ name : "Alex"}Object(객체)를 지칭함O
array[0,1,2,3,4,5]원소의 변수에 따라 배열의 타입이 정해진다O
tuple[0,"Hello], ["World", 1]고정된 길이와 속성의 배열X
enum[APPLE = 0, BANANA=1]변수명에 따른 식별코드 부여X


위 표에 나온것처럼 8가지에 대해서 작성할려고 합니다. 이번 글은 Number와 String에 대해서 쓸거고 마지막으로 any에서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Number(숫자)에서의 JavaScript와 TypeScript는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소수, 정수, 음수등등 숫자는 모두 Number변수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 TypeScript Code Start

// num1 변수를 선언과 동시에 value 지정
const num1 : number = 10;

// num2 변수 선언
let num2 : number;
// num2 value지정
num2 = 20;


console.log('number1 : ', num1);
console.log('number2 : ', num2);

// End of the Code


확장자 .ts으로 파일을 생성하고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 그리고 local에서 실행(npx ts [ts 파일명])하면 거기에 대응되는 .js파일이 생성됩니다. 


// TypeScript Code Start
// num1 변수를 선언과 동시에 value 지정
var num1 = 10;
// num2 변수 선언
var num2;
// num2 value지정
num2 = 20;
console.log('number1 : ', num1);
console.log('number2 : ', num2);
// End of the Code


물론 위 코드에서 주석은 TypeScript이지만 ': number'가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js파일 입니다. 이렇게 TypeScript를 작성하고 JS로 컴파일을 하여 실질적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 TypeScript Code Start

// num1 변수를 선언과 동시에 value 지정
const num1 : number = 10;

// num2 변수 선언
let num2 : number;
// num2 value지정
num2 = '20'; // 에러지점(문자 20지정)


console.log('number1 : ', num1);
console.log('number2 : ', num2);

// End of the Code


만약 num2에 무나열 20이 입력이 되면 TypeScript에서는 Error표시를 코드상과 터미널에서 나타내 줍니다. 


 이는 디버깅시 매우 중요한 요소로 향후 다른 변수를 다룰때(any제외)도 적용이 됩니다. 



// TypeScript Code Start

const str1 : string = "Hello_";

let str2 : string;
str2 = "World"


console.log(str1+str2);

// End of the Code


이제 strin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TypeScript에서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 Number와 마찬가지로 str1은 문자열로 변수를 선언하고 바로 value값을 주었고 str2는 선언 다음 변수값을 주었습니다. 


// TypeScript Code Start
var str1 = "Hello_";
var str2;
str2 = "World";
console.log(str1 + str2);
// End of the Code


JS코드로 컴파일 한 다음에 실행을 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당연히 문자열만 들어가야 할 곳에 숫자, 객체 등이 들어가면 Error가 나타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DAQ로 전압 측정하기-2

Lesson 12_2 참조를 이용한 프로퍼티노드(Property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