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t js -12 Turn Your Server url http to https2 : Apply to your code

 저번시간의 연장선으로 이번에는 nestjs에 https프로토콜을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화면은 key, cert.pem파일이 포함된 코드 입니다. NestJS에서 코딩하는 부분과 실행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src에 있는 .pem파일은 dist쪽으로 옮겨줘야 합니다. 



$ mv cert.pem ../dist/

$mv key.pem ../dist/


// main.ts : /src/

import { NestFactory } from '@nestjs/core';
import { AppModule } from './app.module';

// NodeJS에 있는 모든 FileSystem을
// fs로 import 한다.
import * as fs from 'fs';



async function bootstrap() {
// https옵션을 저장할 변수
// httpsOption을 생성한다.
const httpsOptions = {
// key, cert의 해당경로를 통해 read한다.
// __dirname은 디렉토리 경로를 나타낸다.
key: fs.readFileSync(__dirname + '/key.pem'),
cert: fs.readFileSync(__dirname + '/cert.pem'),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
httpsOptions
});
await app.listen(3000);
}
bootstrap();


이제 main.ts부분의 코드를 추가하겠다. 일단 httpsOptions변수가 추가됬다. 이 변수안에는 key, cert 두개의 키값이 존재하는데 파일경로를 통해 읽은 문자열을 갖고있다.


파일경로는 cli로 옮긴 파일 경로를 작성하면 된다. 


다음은 'NestFactiory.create(AppModule)에 인자를 추가하는 것이다. Object를 추가하는데 위 코드와 같이 httpsOptions을 추가한다. 


이러면 https프로토콜이 완료 됬다.



기존에 사용한 http프로토콜이 동작이 안되는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을 https로 변경후 member의 등록이 제대로 되는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esson 12_1 프로퍼티 노드(Property Node)

DAQ로 전압 측정하기-2

Lesson 12_2 참조를 이용한 프로퍼티노드(Property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