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오늘은 큐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Queue(큐) 구조 및 원리
 |
사진1) 큐 동작 기본 |
LabVIEW에서 큐함수를 사용할때 순차적으로 적용이 됩니다. 사진1과 같이 데이터가 쌓일때 1번,2번,3번 순으로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뺄때 또한 1번부터 3번까지 순차적으로 빠지게 됩니다.
즉 빨간색 화살표는 데이터가 들어가는 방향이고 파란색은 데이터가 나가는 방향 입니다.
그럼 직접 코딩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진2) LabVIEW의 기본 큐함수 |
사진2에 나와있는 함수는 LabVIEW에서 사용하는 기본 큐 함수들 입니다. 그리고 블록 다이어 그램에 놓여져 있는 함수는 자주 사용하게 될 함수들 입니다. 그럼 이 함수들을 이용해서 블록다이어 그램에 코딩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사진3) 큐 초기화 및 While루프 구성 |
일단 가장먼저 큐를 초기화 해야 합니다. 큐 얻기 함수를 이용해서 큐의 이름과 원소타입을 정하면 됩니다. 원소타입을 정할때 기본으로 베이언트로 되어있지만 현재 예제에서는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문자열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진3과 같이 While루프와 이벤트 케이스문을 만들어줍니다.
 |
사진4) 이벤트 케이스문 추가(정지) |
프로그램을 종료할시 필요한 정지버튼을 프런트 패널에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이벤트 케이스 문에 정지 케이스를 만듭니다.
 |
사진5) 정지 케이스문 구성 |
이벤트 케이스문에 정지 케이스를 만들면 사진5와같이 While루프에 정지 버튼을 연결합니다. (이 케이스문이 활성화 될때 사용자한테 정말로 종료 할것인지 물어봐야 하지만 예제이기 때문에 간단히 코딩)
 |
사진6) 프론트 다이어그램 디자인(확인버튼) |
사진6와 같이 프론트패널을 프로그래밍 하고 확인버튼을 추가한다. 향후 확인버튼을 누를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인디게이터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
사진7) 문자열 컨트롤 글씨 크기 조정 |
문자열 컨트롤을 생성하고 글씨크기를 크게 조정합니다. (글씨의 폰트, 색상, 배경색도 설정 가능)
 |
사진8) 문자열 컨트롤 복사 |
방금 만든 문자열 컨트롤을 복사하여 그대로 아래에 만들어 줍니다.
 |
사진9) 추가한 문자열 컨트롤을 인디게이터로 변경 |
아래에 만들어진 문자열 컨트롤을 우클릭 하여 인디게이터로 변경합니다.
 |
사진10) 프론트패널 디자인 완성 |
위 프론트패널의 디자인이 완성이 되었습니다. 다음에는 블록다이어 그램의 코딩을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