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알렉스입니다. 오늘은 LabVIEW에서 프로젝트할때 항상 사용하는 ini파일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LabVIEW로 txt파일을 저장할수 있지만 ini파일로도 저장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txt보다 좋은점이 설정값을 읽기가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또한 설정값을 ini파일로 저장하게 되면 향후 프로그램 소스를 건들지 않고도 설정파일 만으로 설정값을 수정할수 있습니다.
 |
그림1) 경로 컨트롤 추가 |
 |
그림2) 탐색옵션 선택 |
 |
그림3) 폴더 지정으로 설정 |
일단 폴더를 지정할 경로를 만들기 위해 컨트롤 하나를 만듭니다. 그리고 탐색옵션을 폴더로(그림3) 해주시기 바랍니다.
 |
그림4) 문자열 컨트롤 추가 |
다음 파일 이름을 저장하기 위해 문자 컨트롤을 하나 만듭니다.
 |
그림5) 프런트패널 배치 |
 |
그림6) 설정파일VI |
그림6에서 보이듯이 설정파일을 위한 vi가 LabVIEW에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쉽게 ini파일을 생성, 수정, 삭제를 할수가 있습니다.
 |
그림7) 설정파일 함수 및 블록다이어그램 코딩 |
이제 그림7처럼 코딩을 하시면 대부분의 과정이 마무리 된 것입니다. 위 예제에서는 1개의 설정값에 대해서 저장 할것이기 때문에 Write Key.vi를 하나만 놓도록 하겠습니다.
 |
그림8) Write Key.vi 설명 |
Write Key.vi는 ini파일에 설정값을 작성하기 위한 함수입니다. 자세한 선명은 그림8의 설명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그림9) 문자 컨트롤 3개 추가 |
Write Key.vi에 적을 문자열 컨트롤을 3개 넣습니다. 이때 값에 들어가는 변수는 문자, 숫자, 참/거짓 등 컨트롤 또는 상수를 만들어서 넣을수 있습니다. (클러스터 or 배열은 들어갈수 없습니다.
 |
그림10) 폴더경로 선택 |
 |
그림11) 나머지 자료 기입 |
 |
그림12) ini파일 저장 완료 |
그림12까지 확인하셨다면 ini파일 생성에 대한 기본적인 것을 습득하신 것입니다. 대부분 현장에서는 1개의 설정값을 저장하기 보다는 10개 이상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센서가 많으면 각 센서에 대한 보정값을 넣을때도 많이 사용합니다.
설정값 쓰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