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 14 시스템 실행(System Exce.vi)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이번에는 LabVIEW에서 프로그램 자체에서 문서(.txt, .xlsx) 또는 실행(.exe)파일을 실행하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의 글과 같이 경로 컨트롤을 만들어 줍니다. 이 컨트롤러는 문서파일 뿐만 아니라 실행파일도 선택하게 됩니다.
이제 이 블록다이어그램의 메인 인 '시스템 실행'을 추가합니다. 위 함수는 윈도의 cmd기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cmd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수 있지만 LabVIEW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제 명령어를 기입을 해야 합니다. 2개의 문자열 상수를 이용해서 그림 4와 같이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때 'cmd /c'는 cmd의 명령어 입니다. 새로운 cmd콘솔창을 열고 다음에 오는 명령어를 수행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실행할 파일)"을 넣어서 실제로 실행 또는 텍스트 파일을 실행합니다.
경로 컨트롤도 문자열로 바꿔줘야 '문자열 연결'에 연결을 할수 있습니다.
문자열을 모두 연결하고 '시스템 실행'의 명령라인에 연결이 완료되면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은 완료 된 것입니다.
이제 경로 컨트롤에서 텍스트 파일을 선택합니다. 이후 프로그램을 돌려보면 cmd창(그림9의 검은색 창)과 텍스트 파일을 볼수 있습니다.
![]() |
그림1) 경로 컨트롤 추가 |
전의 글과 같이 경로 컨트롤을 만들어 줍니다. 이 컨트롤러는 문서파일 뿐만 아니라 실행파일도 선택하게 됩니다.
![]() |
그림2) '시스템 실행' 추가 |
이제 이 블록다이어그램의 메인 인 '시스템 실행'을 추가합니다. 위 함수는 윈도의 cmd기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cmd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수 있지만 LabVIEW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 |
그림3) '문자상수' 추가 |
![]() |
그림4) '문자상수'에 상수값 기입 |
이제 명령어를 기입을 해야 합니다. 2개의 문자열 상수를 이용해서 그림 4와 같이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때 'cmd /c'는 cmd의 명령어 입니다. 새로운 cmd콘솔창을 열고 다음에 오는 명령어를 수행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실행할 파일)"을 넣어서 실제로 실행 또는 텍스트 파일을 실행합니다.
![]() |
그림5) 경로를 문자로 바꾸는 함수 추가 |
경로 컨트롤도 문자열로 바꿔줘야 '문자열 연결'에 연결을 할수 있습니다.
![]() |
그림6) '문자열 연결하기' 추가 |
![]() |
그림7) 문자열 연결 후 명령라인 연결 |
문자열을 모두 연결하고 '시스템 실행'의 명령라인에 연결이 완료되면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은 완료 된 것입니다.
![]() |
그림8) 텍스트 파일 선택 |
![]() |
그림9) 텍스트 파일 열린 결과 |
이제 경로 컨트롤에서 텍스트 파일을 선택합니다. 이후 프로그램을 돌려보면 cmd창(그림9의 검은색 창)과 텍스트 파일을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은색 창이 뜨면 지저분해 보이기 때문에 실행할때는 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그림10,11에 '시스템 실행'의 불리언을 추가합니다. 이때 '완료까지 기다림(참)'은 거짓과 연결하고 '최소화된 실행(거짓)'에는 참을 연결합니다.
![]() |
그림10) 시스템 실행 불리언 추가 |
![]() |
그림11) 시스템 실행 불리언 추가 |
완료까지 기다림(참)
- 참 : '시스템 실행'에서 파일을 열거나 실행할때 까지 대기합니다.
- 거짓 : '시스템 실행'에서 파일을 열거나 실행할때 까지 기다리지 않고 종료합니다.
최소화된 실행(거짓)
최소화된 실행(거짓)
- 참 : '시스템 실행'에서 cmd파일 창을 띄우지 않습니다.
- 거짓 : '시스템 실행'에서 cmd파일 창을 띄웁니다.
그림12 ~ 16까지 보면 텍스트, 엑셀파일 뿐만 아니라 .exe파일을 열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제 '시스템 실행' 함수로 부터 타 프로그램 또는 문서들을 실행할수 있습니다.
Discord Community Link
![]() |
그림12) 프로그램 실행 결과 |
![]() |
그림13) 엑셀파일 선택 |
![]() |
그림14) 정상 로딩(Excel) |
![]() |
그림15) exe 실행파일 선택(Notepad++) |
![]() |
그림16) 프로그램 정상 실행 확인 |
그림12 ~ 16까지 보면 텍스트, 엑셀파일 뿐만 아니라 .exe파일을 열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제 '시스템 실행' 함수로 부터 타 프로그램 또는 문서들을 실행할수 있습니다.
Discord Community Link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