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1 LabVIEW 소개 및 Hello World 만들기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랩뷰에 대한 소개와 Hello World를 코딩하도록 하겠습니다.
랩뷰(LabVIEW)는 National Instrument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언어 입니다. 기존 언어와 다르게 그래픽 기반으로 되어 있습니다. C,C++ 등등 코딩과는 많이 다릅니다.
왜 랩뷰를 현장에서 사용하는지는 아래 동영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제 Hello World 코딩을 해 보겠습니다. 동영상을 참고해서 Hello World를 코딩할수 있습니다.
랩뷰를 시작하시고 프런트 패널과 블록다이어그램을 사진 1과 같이 배치합니다.
사진2에서 마우스 커서를 프런트 패널에 위치한 후에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사진2와 같이 메뉴가 나오게 되는데 거기서 문자열을 클릭하시고 컨트롤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사진3에서 문자열 컨트롤을 추가하셨습니다. 위의 '문자열'은 컨트롤에서 라벨이라고 부릅니다. 아래 사진4에서는 블록다이어 그램에서 추가된 문자열 입니다. 현재 저는 일할때 편하게 하기 위해서 아이콘으로 안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문자열이 작게 나오는 것입니다. 이는 코딩 할때 블록 다이어 그램의 공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입니다.(사진8, 8_1확인할수 있음)
이제 문자열 인디게이터를 아까와 같이 만들면 됩니다. 컨트롤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고 인디게이터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이제 컨트롤에 있는 문자열을 보기 좋게 배치를 합니다.
위 사진8과 8_1은 아이콘을 활성화 하냐 안하냐에 따른 면적 차이 입니다. 지금은 간단한 'Hello World'를 작성하지만 차후에 더 복잡해 지게 되면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저는 아이콘을 쓰지 않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진9 처럼 연결하고 사진10에서 'Hello World'라고 작성을 합니다.
사진11는 프런트 패널 왼쪽의 위쪽을 보시면 볼수 있는 화살표 입니다. 실행 버튼인데 단축키로 'Ctrl + R'로도 구동할수 있습니다.
이제 Hello World 프로그램을 작성 하셨습니다. 저도 처음에 이렇게 해서 랩뷰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아래 글은 사진8을 8_1로 항상 바꾸는 방법 입니다.
사진14에서 블록 다이어그램을 선택하고 '프런트패널 터미널 아이콘으로 놓기'의 체크박스가 안되야 합니다. 사진대로 하시고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갑사합니다.
동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PqIRpcq36lg&list=PLz_OrF2kCe4oVfNAP7M0QgJQfWNLKHvOQ&index=1&t=0s
Discord Community Link
랩뷰(LabVIEW)는 National Instrument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언어 입니다. 기존 언어와 다르게 그래픽 기반으로 되어 있습니다. C,C++ 등등 코딩과는 많이 다릅니다.
왜 랩뷰를 현장에서 사용하는지는 아래 동영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동영상
이제 Hello World 코딩을 해 보겠습니다. 동영상을 참고해서 Hello World를 코딩할수 있습니다.
사진1) 프런트 패널(왼쪽)과 블록 다이어그램(오른쪽)
랩뷰를 시작하시고 프런트 패널과 블록다이어그램을 사진 1과 같이 배치합니다.
사진2) 문자열 컨트롤 선택 |
사진3 프런트 패널에서 문자열(컨트롤) |
사진4) 블록다이어 그램에서 문자열(컨트롤) |
사진3에서 문자열 컨트롤을 추가하셨습니다. 위의 '문자열'은 컨트롤에서 라벨이라고 부릅니다. 아래 사진4에서는 블록다이어 그램에서 추가된 문자열 입니다. 현재 저는 일할때 편하게 하기 위해서 아이콘으로 안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문자열이 작게 나오는 것입니다. 이는 코딩 할때 블록 다이어 그램의 공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입니다.(사진8, 8_1확인할수 있음)
사진5) 문자열 인디게이터 |
사진6) 문자열 인디게이터, 프런트패널(왼쪽), 블록다이어그램(오른쪽) |
이제 문자열 인디게이터를 아까와 같이 만들면 됩니다. 컨트롤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고 인디게이터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사진7) 컨트롤과 인디게이터 맞추기 |
사진8) 아이콘 사용시 사용면적 커짐 |
사진8_1) 연결되 있지 않은 아이콘 |
위 사진8과 8_1은 아이콘을 활성화 하냐 안하냐에 따른 면적 차이 입니다. 지금은 간단한 'Hello World'를 작성하지만 차후에 더 복잡해 지게 되면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저는 아이콘을 쓰지 않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진9) 연결된 아이콘 |
사진10) |
사진11) 실행 버튼 |
사진12) 문자열2에 출력된 Hello World |
사진11는 프런트 패널 왼쪽의 위쪽을 보시면 볼수 있는 화살표 입니다. 실행 버튼인데 단축키로 'Ctrl + R'로도 구동할수 있습니다.
이제 Hello World 프로그램을 작성 하셨습니다. 저도 처음에 이렇게 해서 랩뷰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아래 글은 사진8을 8_1로 항상 바꾸는 방법 입니다.
사진13) 블록다이어에서 도구->옵션 선택 |
블록 다이어 그램에 옵변이 있는데 그것을 클릭 합니다.
![]() |
사진14) 프런트패널 터미널 아이콘으로 놓기 비활성화 |
사진14에서 블록 다이어그램을 선택하고 '프런트패널 터미널 아이콘으로 놓기'의 체크박스가 안되야 합니다. 사진대로 하시고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갑사합니다.
동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PqIRpcq36lg&list=PLz_OrF2kCe4oVfNAP7M0QgJQfWNLKHvOQ&index=1&t=0s
Discord Community Link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