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container 로그 관리하기 max-size, max-file

도커 컨테이너를 장기간 운영하다 보면 하드 용량이 싸이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는 컨테이너가 로그를 지우지 않고 지속적으로 쌓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하드 용량이 가득 차서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에서는 정기적으로 로그 기록을 오래된 순서로 지워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docker run'을 실행할시 설정할수 있고 아니면 docker system에 적용할수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 링크 : https://docs.docker.com/config/containers/logging/local/ 1. 'docker run'을 이용하여 로그 용량 제한하기 $ docker run --log-opt max-size=10m --log-opt max-file=3 image-id copy max-size : 로그파일의 용량을 나타낸다. 단위는 k, m, g 로하고 기본값은 20m이다. 위 커멘드는 10m으로 되어 있다. max-file : 몇개의 로그파일을 만들것인지 결정한다. 그리고 설정한 파일 이상으로 생성될려고 할때 가장 과거의 것을 지운다. 기본으로는 5개로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매번 'docker run'을 할때마다 셋팅하기가 귀찮다면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2. daemon.json 전체로 docker에 설정하기 Ubuntu(Linux)의 경로 /etc/docker 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daemon.json파일을 생성합니다. { "log-driver": "json-file", "log-opts": { "max-size": "10m", "max-file": "3", "labels": "production_status", "en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