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도커 볼륨(Volumes) 사용하기 : NestJS사용 (Named Volumes)

사진1) 볼륨 구성 이제 볼륨에 이름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름을 작성하는 것은 docker 터미널을 사용하면서 넣어야 합니다. 이전글 : docker 도커 볼륨(Volumes) 사용하기 : NestJS사용 (Anonymous Volumes) 위 글의 코드를 확인하실려면 해당 gitHub의 useVolume branch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docker 터미널을 작성시 -v 커멘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사진2) 도커 이름과 경로 지정 사진2에서 '-v'이후에 해당 볼륨을 이름을 생성합니다.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도커에서 새로 생성하고 존재하면 ':'오른쪽 경로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게 됩니다. 사진3) 도커 컨테이너 생성 이제 해당 nestjs의 swagger 페이지에 접속해서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진4) 데이터 생성 사진5) 데이터 생성 요청 완료 사진4에서 'Example Value'와 같이 데이터를 생성 요청을 합니다. 그러면 NestJS에서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일을 생성 혹은 추가를 하게 됩니다. 파일은 '/app/nestjs/userData/userText.txt'로 저장이 됩니다. 이때 Volume이 입력하고 출력하는 부분이 'userData'폴더 안에 있는 파일들 입니다. 사진6) 저장 데이터 요청 이제 해당 저장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GET요청으로 확인할수 있습니다. 그럼 이전글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를 정지와 동시에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진7) 컨테이너 삭제 후 볼륨 상태 이전과 달리 이번에는 'test1'볼륨이 유지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러면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할때 해당 볼륨을 다시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진8) 새 컨테이너 생성 사진9) 볼륨내 userText.text정보 출력 확인 사진8,9처럼 해당 볼륨을 이용하여 다시 컨테이너를 만들면 해당 컨테이너는 지정된 볼륨의 데이터를 참조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