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migration인 게시물 표시

NestJS TypeORM(^0.2.45) Migration DB 생성 및 첫 Migration진행 -1

이미지
 위 블로그 글은 TypeORM ^0.2.45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npm 설치시 typeorm은 ^0.2.45버전 입니다. // src/db/ormconfig.ts import { TypeOrmModuleOptions } from '@nestjs/typeorm' ; require ( 'dotenv' ). config (); export const typeOrmModuleOptions : TypeOrmModuleOptions = { type : 'postgres' , host : process . env . PG_HOST , port : + process . env . PG_PORT , username : process . env . PG_USERNAME , password : process . env . PG_PASSWORD , database : process . env . PG_DATABASE , autoLoadEntities : true , synchronize : process . env . PG_CHANGE === 'true' , }; export const OrmConfig = { ... typeOrmModuleOptions , migrationsTableName : 'migrations' , entities : [ 'dist/**/*.entity.js' ], migrations : [ 'dist/db/migrations/*.js' ], cli : { migrationsDir : './src/db/migrations' , }, }; export default OrmConfig ; # .env PG_HOST = "localhost" PG_PORT =5434 PG_USERNAME = "a...

NestJS TypeORM Migration Table 수정 및 삭제 -3

이미지
 이번에는 TypeORM에서 migration을 셋팅하고 이후 글에서는 동작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전글 : NestJS TypeORM Migration DB 생성 및 첫 Migration진행 -2 진행을 위해서는 NestJS가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nest js - install & Create Project from Linux or Ubuntu 해당 글에서는 Postgres을 사용합니다. 다만 진행의 편리성을 위해 Docker Container를 이용하여 사용합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Docker-Compose yaml파일을 이용하여 PostgreSQL를 Local로 구축하기 이제 해당 users테이블에 name컬럼을 추가하겠습니다.  1. users테이블에 name추가 // src/users/entities/user.entity.ts import { Column , Entity ,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 @ Entity ( 'users' ) export class User { @ PrimaryGeneratedColumn ( 'increment' ) // 기존 Column id : number ; @ Column ({ unique : true }) // 기존 Column email : string ; @ Column () // 추가된 컬럼 name : string ; } 2. migration:generate를 진행합니다. - migration파일을 생성합니다. $ npm run migration:generate -- [migration 경로] copy migration 경로 : migration파일이 생성될 경로입니다. 처음에 db폴더안에 생성하면 됩니다. 기존 파일과 구분짓기 위해서 migration폴더를 생성...

NestJS TypeORM Migration DB 생성 및 첫 Migration진행 -2

이미지
 이번에는 TypeORM에서 migration을 셋팅하고 이후 글에서는 동작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전글 : NestJS TypeORM Migration 셋팅하기 -1 진행을 위해서는 NestJS가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nest js - install & Create Project from Linux or Ubuntu 해당 글에서는 Postgres을 사용합니다. 다만 진행의 편리성을 위해 Docker Container를 이용하여 사용합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Docker-Compose yaml파일을 이용하여 PostgreSQL를 Local로 구축하기 1. users 모듈을 nest cli로 생성합니다. $ nest g res users copy 2. user.entity.ts파일에 들어가서 Table Column을 설정합니다. // src/users/entities/user.entity.ts import { Column , Entity ,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 @ Entity ( 'users' ) export class User { @ PrimaryGeneratedColumn ( 'increment' ) id : number ; @ Column ({ unique : true }) email : string ; } 3. users.module.ts에서 typeorm을 imports 합니다. // src/users/users.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 import { User } from './entities/user.en...

NestJS TypeORM Migration 셋팅하기 -1

이미지
 이번에는 TypeORM에서 migration을 셋팅하고 이후 글에서는 동작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진행을 위해서는 NestJS가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nest js - install & Create Project from Linux or Ubuntu 해당 글에서는 Postgres을 사용합니다. 다만 진행의 편리성을 위해 Docker Container를 이용하여 사용합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Docker-Compose yaml파일을 이용하여 PostgreSQL를 Local로 구축하기 아래에 gitHub링크가 있는데 Clone받으셔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1.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 nest new typeorm_migration_example copy typeorm을 사용하기 위해서 npm 모듈을 설치합니다. $npm i @nestjs/typeorm typeorm pg copy "@nestjs/typeorm" : "^9.0.1" "pg" : "^8.10.0" "typeorm" : "^0.3.14" 2. 이제 package.json파일에서 script에 migration내용을 추가해야 합니다. "scripts" : { "build" : "nest build" , "format" : "prettier --write \" src/**/*.ts \" \" test/**/*.ts \" " , "start" : "nest start" , "start:dev" : "nest start --watch" , "st...

NaverCloud(NCP) AWS S3 Bucket에서 NCP Objected Storage Migration

이미지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NCP에서 무료(2022.06.08 기준)로 진행하고 있는 Object Storage Migrati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CP의 공식 Document를 확인할려면 해당 링크 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진1) Object Migration 신청 NCP에서 제공하는 'Object Migration'은 타사의 Storage를 NCP로 옮기도록 해주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3를 이용하여 Migration을 진행하겠습니다. 사진2) Migration전 NCP bucket 생성 NCP에서 Migration을 진행할시 사진2처럼 Objected Storage에 Migration할 버킷이 존재해야 합니다. 사진3) Bucket명 생성 해당 버킷 이름을 생성합니다. S3버킷과 다르게 지어도 되지만 다운로드 url의 호환을 위해 갖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4) 버킷 설정 사진5) 권한관리 설정 버킷 설정중 사진5와 같이 공개여부를 공개로 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렇지 않으면 폴더별로 일일이 공개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사진6) 버킷 생성전 확인 사진6 처럼 버킷 생성전 해당내용을 확인하고 생성해 줍니다. 사진7) Migration 신청 이제 Migration을 신청을 합니다.  정책명 : 해당 Migration의 명칭(중복되지 않게만 작성하면 됩니다.) 원본-원본 : Migration하는 주체(사진7에서는 AWS) 원본-리전 : 해당 서비스의 리전 원본-버킷 : Migration하는 버킷 명칭 원본-Access Key :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Access Key 원본-Security Key :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Security Key 대상-버킷 : NCP의 Objected Storage에 있는 버킷 AWS기준으로 Access Key, Security Key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링크 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진8) Migration 준비완료 사진9) Migration 시작 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