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keys인 게시물 표시

AWS Local PC에 IAM키값 입력(S3 예시)

이미지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터미널로 AWS 키()를 로컬 컴퓨터에 저장하도록 하겠습니다. 1. AWS Command Line Tools 설치 - 터미널로 AWS서비스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 sudo pip install awscli copy 사진1) aws 키값 입력 2. AWS 키값을 터미널로 입력 - AWS키값을 입력받기 위해서 S3 Access가 가능한 IAM키값을 입력한다. $ aws configure copy AWS Access Key ID [none] : AWS IAM Access키 AWS Secret Access Key [none] : AWS IAM Secret Access 키 Default region name [None] : 디폴트 리전(사진1은 서울 입니다.) Default output format [None] : 디폴트 출력 포멧 위 4개를 모두 입력을 완료하면 해당 IAM키를 이용하여 AWS서비스를 터미널을 이용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object를 이용해서 for문 돌리기

이미지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알았던 Object(객체)를 이용하여 for루프를 돌려보겠습니다. Object에 대해서 생소하시다면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Object에 과일의 종류를 key값으로 갯수를 value로 초기화 하고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for루프를 돌려서 현재 갯수 +2로 해서 다시 Object에 저장하겠습니다. 그림1) 기존 for문  그림1은 기존에 for루프를 이용하여 나타낸 순서도와 코드 입니다. 이 구조에서 for루프에 대해서 이해하기가 힘들다면 제 글중에 for루프 관련 글  또는 for, if관련 글 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림2) 'Object.keys' and '.length'  여기서 3번 조건확인에서 'Object.keys(obj).length' 이 있습니다. 현재 'obj'는 과일들의 갯수를 표현하는 오브젝트고 'Object.keys(obj)'는 key들(그림1에서는 과일종류)의 배열을 나타냅니다. 뒤에 '.length'은 배열 혹은 문자의 길이를 출력합니다. 그림1의 경우는 배열의 길이 4를 나타냅니다. 그림3) 'for in'을 이용한 구문  그림3은 'for in'구문을 구해서 그림1과 같은 결과를 출력한 것입니다. 2번부분이 매우 짧아졌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사실 2번의 조건확인부분은 그림1의 2,3,5번을 한번에 압축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for in'구문을 object에 사용하여 더 간결하게 'for'문을 이용할수 있습니다. 물론 그림1에서 초기값을 변경하거나 다른 조건을 줄려면 그림1의 'for'문을 사용해야합니다. 하지만 key의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모두 처리한다면 'for in'문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