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객체인 게시물 표시

TypeScript Class으로 타입 선언

이미지
class ProductDto { // product dto id : string ; name : string ; type : string ; created_year : number ; option : {[ key : string ] : OptionDto } } class OptionDto { // product dto내의 또다른 dto name : string ; desc : string ; count : number ; production : boolean ; } const product1 : ProductDto = new ProductDto () // class로 ProductDto타입의 변수 선언 product1 . id = "abc" ; product1 . name = "apple" ; product1 . type = "A" ; product1 . created_year = 123 ; console . log ( product1 ); product1 . option = { // option안에 key1을 키값으로 갖는 객체 생성 "key1" : { name : "test key1" , desc : "this is a test" , count : 10 , production : true } } console . log ( product1 ); product1 . option [ "key2" ]= { // option안에 key2의 키값을 갖는 객체 생성 name : "test key2" , desc : "this is a test2" , count : 13 , pr...

JSON stringify, parse

 JSON.stringify(object) : 객체를 JSON양식의 문자열로 변형한다. let obj = { apple : 1 , banana : 2 , tomato : 3 , orange : 4 } let str = JSON . stringify ( obj ); console . log ( str ); 위 str의 콘솔로그 결과는 아래와 같이 문자열(string)로 출력된다. {     "apple" : 1,     "banana" : 2,     "tomato" : 3,     "orange" : 4 }  JSON.parse(str) : JSON양식의 문자열을 JSON양식의 객체(object)로 변형한다. let str = '{"apple" : 1, "banana" : 2, "tomato" : 3, "orange" : 4}' ; let obj = JSON . parse ( str ); console . log ( obj ); str은 위쪽의 콘솔로그에 { apple: 1, banana: 2, tomato: 3, orange: 4 } 와 같이 출력이 된다.  

JavaScript this - apply

이미지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알아봤던 this와 apply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만약 this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면 위  링크 로 들어가서 한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저번에 object.function()으로 부르지 않는다면 this는 모두 global로 출력한다고 하였습니다. 다만 함수형 변수를 선언하기 전에 bind()를 한다면 bind한 object를 this로 출력합니다. bind와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apply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apply( 선언할 객체 , [전달인자 배열]) 선언할 객체 : this에 출력할 객체(object) 전달인자 배열 : 인덱스0부터 마지막 원소까지 순차적으로 함수에 전달 물론 이렇게 작성하면 이해하기 어려우니 예시를 들어 드리겠습니다. bind와 마찬가지로 apply의 첫번째 인자는 this를 지정할 object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obj입니다. apply함수가 전달인자를 함수에 전달하는데 제한이 없습니다. 위 예제에서는 3개만 작성했지만 원하시면 더 넣으셔도 됩니다. add함수에는 3개의 전달인자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고로 apply의 전달인자 배열에 각각 4,5,6을 입력합니다. obj2가 선언과 동시 this = obj, a = 4, b = 5, c = 6이 된 것을 알수 있습니다. 하지만 obj2를 출력하면 다음에는 숫자 3만 나옵니다.  그것은 obj2의 type이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처음 obj2를 선언할때 obj.func를 불러서 return값을 obj2에 넣은것입니다. 이때 return값의 속성이 number이고 3이기 때문에 그다음에 obj2를 부를때 number type 변수를 불러오는 것입니다. 만약 변수가 아닌 함수로써 obj2를 부르고 싶다면 bind를 사용해야 합니다. bind에 대한 내용은 이전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  JavaScript this

JavaScript this - call

이미지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알아봤던 this와 call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만약 this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면 위 링크 로 들어가서 한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저번에 object.function()으로 부르지 않는다면 this는 모두 global로 출력한다고 하였습니다. 다만 함수형 변수를 선언하기 전에 bind()를 한다면 bind한 object를 this로 출력합니다. bind와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call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call( 선언할 객체 , 전달인자1, 전달인자2) 선언할 객체 : this에 출력할 객체(object) 전달인자1 : 함수에 포함되어있는 첫번째 전달인자 입력 전달인자2 : 함수에 포함되어있는 두번째 전달인자 입력 물론 이렇게 작성하면 이해하기 어려우니 예시를 들어 드리겠습니다.  bind와 마찬가지로 call의 첫번째 인자는 this를 지정할 object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obj입니다. 그리고 설명보다 1개더 전달인자가 많은데 이것은 call함수가 전달인자를 함수에 전달하는데 제한이 없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 add함수에는 3개의 전달인자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고로 call의 전달인자1,2,3에 각각 4,5,6을 입력합니다. obj2가 선언과 동시 this = obj, a = 4, b = 5, c = 6이 된 것을 알수 있습니다. 하지만 obj2를 출력하면 다음에는 숫자 3만 나옵니다.  그것은 obj2의 type이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처음 obj2를 선언할때 obj.func를 불러서 return값을 obj2에 넣은것입니다. 이때 return값의 속성이 number이고 3이기 때문에 그다음에 obj2를 부를때 number type 변수를 불러오는 것입니다. 만약 변수가 아닌 함수로써 obj2를 부르고 싶다면 bind를 사용해야 합니다. bind에 대한 내용은 이전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  JavaScript this 다...

JavaScript this - bind

이미지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이번에는 JavaScript에서 this와 new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합니다. this는 지금도 공부하는 키워드여서 차후 글의 내용이 바뀔수가 있습니다. console.log(this)를 하면 글로벌 객체(Window)가 나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는 this를 그냥 최 외곽에서 불러왔을때 바깥에 있는 객체(Window)를 불러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위 사진도 Test(a)함수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this.title = 'Hello World';를 주었지만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다만 this를 호출하기 전과 후를 보면 다른점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첫번째 console.log와 두번째는 title : "Hello World" 추가 여부 입니다. this에 title를 추가하기 전을 출력 했고 추가한 후에 출력을 한 사진이 위 사진 입니다. 이는 Window또한 객체이며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각각 window를 확장해서 title : "Hello World"가 존재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러면 this는 어느때에 object를 따르고 어느때에 global을 따를까? 이는 간단히 생각해 볼수 있다. 만약 object.function()으로 부른다면 this은 object이다. 그외의 나머지는 다 global이다. 위 사진은 object를 하나 만들어서 예시를 들은거다. obj.func1()은 함수이다. 이때 this에서 case1,case2의 더한 값을 return하는 역할을 한다. obj의 키로 case1,case2가 각각 value로 1,2가 배정되 있는것을 알수 있다. 실제 obj.func1()을 실행하면 3이 출력됨을 알수 있다. 더 자세한 방법으로 func1()안에 this을 출력하는 console.log를 추가했다. 그리고 obj2도 만들고 그안에 obj.func1을 넣었다.  예상대로 obj의 this값은 obj 객체임을 확인했다. 출력 또한 ...

Object 오브젝트 개념

이미지
 안녕하세요. 알렉스 입니다. 입번에는 오브젝트(object)인 객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의 변수는 숫자, 문자, 등등으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게 단순하게 나눌수도 있지만 여러가지가 섞인 상태도 존재합니다. 예를들어 책에 대해서만 이야기 할수 있습니다.  그림1) Object 생성 책은 제목,저자,출판사,장수로 나타낼수 있습니다. 변수로는 하나하나 표현할수밖어 없습니다. 하지만 Object를 사용하면 그림1과 같이 하나의 오브젝트 안에 모든것을 표현할수 있습니다. 그림2) Object에서 키값을 배열로 출력 그림2는 책(Object)에서 Key값을 배열로 출력합니다. Key값은 모두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수(Object.Keys())를 이용하면 해당 오브젝트에 있는 키 명칭들을 문자열 배열로 받을수 있습니다. 그림3) 키값을 이용하여 value값 출력 그림3은 키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에 저장되어있는 Value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책 제목(title)을 확인하는 예제 입니다.  Book.title  & Book[title]: value값을 확인할수 있지만 Object안에 title가 존재하지 않으면 'undefined'가 나온다. 그림4) 키(author)에 배열 할당 오브젝트안 키에 또다른 오브젝트 또는 배열을 할당할수 있습니다. 그림4에서 만약 저자가 2명이면 'author'부분에 2명의 저자를 넣어야 합니다. 이때 크기가 2인 배열에 각각의 저자를 넣어서 'author'키에 배정하면 됩니다.